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SM제11요소
- 컨베이어위험성
- 비상조치계획
- PSM제12대요소
- PSM공정위험성평가
- 위험성평가
- 생애주기별국가건강검진
- 응급처치
- 작성자자격요건
- 공정안전보고서
- 생애주기별건강검진
- 산업안전관리필요성
- 코로나
- 가스감지기
- 공정위험성평가
- psm
- 화재의위험성
- 수공구재해예방대책
- 가스감지경보기
- PSM제12요소
- 컨베이어위험성및안전작업방법
- 공정안전보고서작성자자격요건
- 결핵
- 공정사고조사
- 화재의위험성및대피요령
- 태풍피해
- 가스감지경보기설치시주의사항
- 코로나바이러스
- PSM12대요소
- 안전대책방안
- Today
- Total
목록코로나 (3)
좌충우돌 털모자

7. 바이러스의 경과 “2014년 서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의 경우 인간은 어쩌면 공격적 공생관계의 희생양인지 모른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원래 아프리카 밀림에 사는 과일박쥐와의 공격적 공생관계를 맺고 있다. 그래서 과일박쥐의 영역을 침탈한 침팬지나 벌목, 사냥, 광산 채굴 등으로 영역을 앗아가는 인간들은 과일박쥐가 보균하고 있는 치명적인 에볼라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속수무책으로 그 대가를 치르고 있는지도 모른다. 세상에 공짜는 없는 법이다.” 2014년에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는 인간이 바이러스의 영역에 침투해서 반대급부로 인간을 공격한 사례이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아프리카 밀림에 사는 과일박쥐와 '공격적 공생관계'를 맺고 있었다. 서로서로 죽이는 이 관계 속에 침팬지 역시 희생양이 되었고, 인..

5. 바이러스의 생태 “평균 직경 100nm(나노미터, 길이 단위의 일종이며 10억분의 1m) 바이러스는 자기 유전자에 단백질 껍데기를 뒤집어쓴 이 단순하고 작은 나노물질에 불과하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세포를 임대하여 살아가는, 매우 전략적인 선택을 구사한다. 바이러스가 구사하는 임대 방식은 아파트 전·월세보다는 빌트인 콘도나 오피스텔 임대라고 보는 것이 좀 더 정확할 것 같다. 그래서 바이러스가 죽느냐 사느냐 그것은 숙주 세포에 달렸다. 거꾸로 말하면 숙주 세포가 존재하는 한 바이러스는 서식처를 보장받는다.”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존에 유리한 최적의 방법을 채택하는 것일까? 바이러스는 평균 직경 100nm로, 자기 유전자에 단백질 껍데기를 뒤집어쓰고 있는 매우 효율적인 신체 구조를 하고 있다. 또한 바이..

2019년 말, 갑작스럽게 나타난 코로나바이러스는 아직도 확산하고 있다. 어느 순간부터 많은 사람들이 바이러스와 함께 공존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사실에 전보다 바이러스를 알려고 노력하고 있다. 2016년 출간된 ‘바이러스 쇼크’라는 책을 통해 코로나의 발생 원인과 경과, 그리고 미래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바이러스 예방할 방법들을 알아보려 한다. 1. 바이러스의 생존 방식 “신종 바이러스가 동물에게서 사람으로 넘어오기 위해서는 종간 장벽(Species barrier)을 넘어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따르는 과정은 돌연변이나 바이러스 간 재조합 등을 통해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는 구조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미리 바이러스가 급속도로 퍼지기 전에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는 그 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