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수공구재해예방대책
- 공정위험성평가
- 응급처치
- 화재의위험성및대피요령
- 코로나
- PSM제11요소
- 비상조치계획
- PSM12대요소
- 생애주기별건강검진
- 결핵
- 작성자자격요건
- 컨베이어위험성및안전작업방법
- 생애주기별국가건강검진
- psm
- 코로나바이러스
- PSM제12요소
- 공정안전보고서
- 가스감지기
- 산업안전관리필요성
- 가스감지경보기
- PSM제12대요소
- 안전대책방안
- 위험성평가
- 가스감지경보기설치시주의사항
- 공정안전보고서작성자자격요건
- 공정사고조사
- PSM공정위험성평가
- 태풍피해
- 컨베이어위험성
- 화재의위험성
- Today
- Total
목록응급처치 (2)
좌충우돌 털모자

Ⅱ. 응급처치 구명 4단계 1. 기도유지(Airway keep) 응급처치의 제 1 우선순위는 기도유지이다. 단 몇 분간이라도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산소 결핍성 뇌 손상이 올 수 있으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필요시 손을 사용하거나 흡인하여 분비물이나 조직의 파편을 기도에서 제거해야 한다. 1) 기도 폐쇄의 원인 - 혀 : 의식이 없을 때의 가장 흔한 기도 폐쇄의 원인 - 이물질 : 구토물, 혈액, 음식물, 의치 - 부종 : 기도 부위의 부종, 손상, 성대의 경련, 심한 알레르기 등 의식이 없는 사람은 아래턱, 목 등의 힘이 빠져서 혀뿌리 부분이 인두(咽頭) 쪽으로 쳐져서 숨통을 막아 버린다. 또 인두부에 이물질이 걸려서 숨통을 막는 경우가 있어, 이런 경우에는 입을 열고 살펴 막혀 있을 때는 ..

Ⅰ. 응급처치 1. 응급처치의 정의 응급처치란, 갑자기 발생한 외상이나 질환(이것을 응급외상, 응급질환이라고 한다)에 대해서 주로 발생한 장소, 또는 의료기관에 도착하기 전까지 최소한도의 치료를 행하는 것을 응급처치라고 한다. 예를 들면 외상에 대해서 지혈, 창상의 청정화, 골절의 간이 고정 등을 행할 것, 호흡ㆍ순환이 정지하고 있거나 대단히 약해지고 있는 경우에 각종 인공호흡, 심폐소생술을 행할 것(이것을 소생법이라고 한다) 등이 전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응급처치는 본격적 치료로 옮기기 전의 처치인데, 응급처치 시 행위가 환자의 생명에 중요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응급상황에서의 행동 요령 1) 일차 구조자의 역할 가. 상황 파악 - 부상자나 환자를 발견하면 우선 가까이 다가가기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