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가스감지기
- 공정안전보고서작성자자격요건
- 가스감지경보기
- 수공구재해예방대책
- 공정안전보고서
- 생애주기별건강검진
- 화재의위험성및대피요령
- 산업안전관리필요성
- 코로나바이러스
- 위험성평가
- PSM공정위험성평가
- 결핵
- PSM12대요소
- 컨베이어위험성
- 비상조치계획
- 공정사고조사
- 응급처치
- 컨베이어위험성및안전작업방법
- 생애주기별국가건강검진
- 가스감지경보기설치시주의사항
- 작성자자격요건
- 코로나
- 공정위험성평가
- PSM제12대요소
- 태풍피해
- psm
- 화재의위험성
- 안전대책방안
- PSM제11요소
- PSM제12요소
- Today
- Total
목록태풍피해 (2)
좌충우돌 털모자

우리 나라는 열대 이동성 저기압의 영향으로 태풍이 자주 지나간다. 태풍은 시지에 상관없이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9월에 많이 발생해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입히곤 한다. 한번 태풍이 휩쓸고 간 자리는 예전의 형태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파괴된다. 강풍과 집중호우를 동반해 집과 도로 등을 마구 잡이로 파괴하고 인명과 재산 피해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 주요 유해.위험요인 1) 토사유실이나 지반의 약화로 인한 무너짐 등을 통한 인적,물적 위험 2) 태풍이 지나간 후 무너진 전주, 떨어진 전선 등에 의한 감전 위험 3) 침수 지반 등의 무너짐 위험 4) 침수된 사업장 또는 건물 내의 전기설비, 수도관, 가스관 등에 의한 2차 사고 위험 5) 각종 질병이나 전염병에 의한 건강장해 위험 등이 있다. ●..

제 11호 태풍 '힌남노' 영향권에 들어 왔다. 힌남노의 중심기압은 950헥토파스칼(hPa), 최대풍속은 초속 43m이다. 중심기압이 낮을수록 태풍의 위력은 강하다. 최악의 태풍으로 꼽히는 1959년 '사라'(951.5hPa), 2003년 '매미'(954.0hPa) 상륙 때보다 중심기압이 더 낮다. 가공할 파괴력으로 힌남노는 남해안을 강타할 것이다. 힌남노 상륙에 모두가 철저히 대비해야 할 시접이다. 그래야만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중심기압은 950헥토파스칼(hPa), 최대풍속은 초속 43m에 이른다. 1. 주변 배수구 점검, 도심에서도 위험한 곳 피해야 한다. 행정안전부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태풍은 폭우를 동반해 가정 내 하수구, 집 주변 배수구 점검이 반드시 필요하다. 쓰레기 등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