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위험성평가
- 컨베이어위험성
- 안전대책방안
- 화재의위험성및대피요령
- 화재의위험성
- 공정위험성평가
- 생애주기별건강검진
- PSM제11요소
- PSM제12요소
- PSM공정위험성평가
- 가스감지경보기
- 공정안전보고서작성자자격요건
- 공정사고조사
- 코로나바이러스
- 응급처치
- 태풍피해
- 가스감지경보기설치시주의사항
- 작성자자격요건
- 생애주기별국가건강검진
- 공정안전보고서
- 수공구재해예방대책
- 산업안전관리필요성
- 컨베이어위험성및안전작업방법
- 비상조치계획
- PSM12대요소
- 코로나
- 가스감지기
- 결핵
- PSM제12대요소
- psm
- Today
- Total
좌충우돌 털모자
PSM 제4요소 (설비점검ㆍ검사 및 보수계획, 유지계획 및 지침서) 본문
PSM 제 4요소 (설비점검ㆍ검사 및 보수계획, 유지계획 및 지침서)
1. 관련법규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ㆍ심사ㆍ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
2. 보고서 작성기준
제32조(설비점검ㆍ검사 및 보수계획, 유지계획 및 지침서)
규칙 제50조제1항제3호 나목의 설비점검ㆍ검사 및 보수계획, 유지계획 및 지침서는 공단 기술지침 중 「유해ㆍ위험설비의 점검ㆍ정비ㆍ유지관리 지침」 을 참조하여 작성하되,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목적
2. 적용범위
3. 구성 기기의 우선순위 등급
4. 기기의 점검
5. 기기의 결함관리
6. 기기의 정비
7. 기기 및 기자재의 품질관리
8. 외주업체 관리
9. 설비의 유지관리 등
3. 보고서 심사기준
제45조(위험설비 품질과 안전성 확보)
공단은 위험설비의 물질과 안전성이 확실히 확보되었는지를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심사하여야 한다.
1. 위험설비에 다음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
가. 압력용기와 저장탱크 계통 설비
나. 배관 계통 설비(밸브와 같은 부속설비 포함)
다. 압력방출 계통 설비
라. 비상정지 계통 설비
마. 계측제어 계통 설비(감지기, 경보기 및 연동장치 포함)
바. 펌프ㆍ압축기 등 회전기기류
사. 위험물질 처리설비
2. 사업장에서는 위험설비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위험설비 안전관리 규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는지 여부
3. 사업장에서는 위험설비에서 운전, 작업하는 작업자들에게 제조공정과 잠재 위험성 및 위험설비 안전관리규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작업자들이 이를 숙지하여 안전한 방법으로 운전ㆍ작업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는지 여부
4. 제1호의 위험설비는 위험성평가 결과로 얻어지는 기기의 위험 정도에 따라 기기별로 우선순위를 정하고 검사, 시험 등 점검의 주기를 달리하고 있는지 여부
5. 사업장에서 위험설비에 대하여 자체점검 절차를 규정화하고 이를 실시하고 있는지 여부
6. 자체점검 절차는 구체적이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에 따르고 있는지 여부
7. 자체점검 실시 주기는 최소한 위험설비 제작회사가 권장하는 주기로 하고 있으며, 사업장이 설비의 안전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경우 주기를 증가할 수 있는지 여부
8. 자체점검 실시 결과는 위험설비별로 서류로 작성하여 관리되고 있으며 다음 각 목의 내용이 포함되었는지 여부가. 검사 또는 시험 실시 일자나. 검사자의 소속과 성명다. 위험설비의 일련번호 및 설비명라. 검사항목별 검사내용마. 검사 결과 및 판정바. 검사 결과에 따른 조치사항9. 사업주는 위험설비의 결함이 발견된 때에 사용을 중지하고 결함사항을 제거하고 있는지 여부
10. 위험설비마다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고 있으며 사용가능 기준을 정하여 관리하고 있는지 여부
11. 신설되는 위험설비에 대하여 위험설비가 설계 및 제작기준에 맞게 제작되고 있는지 여부
12. 위험설비가 설치ㆍ조립되고 있는 과정에서 설치기준 및 명세와 일치학고 제작자의 설치기준에 따라 안전하게 설치되고 있음을 점검 또는 검사를 통하여 확인하고 있는지 여부
13. 위험설비를 정비하는데 필요한 장비ㆍ자재ㆍ예비품을 확보하여 위험설비의 결함이 발견될 때에는 즉시 정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지 여부
4. PSM 이행상태평가 시 착안사항
1 | 설비의 점검ㆍ검사ㆍ보수 및 유지짗침이 산업안전보건법령, 동 고시 및 공단 기술지침을 참조하여 적절하게 작성되어 있는가? |
2 | 설비의 점검ㆍ검사ㆍ보수 계획, 유지계획에 따라 예방점검 및 정비ㆍ보수를 시행하고 있는가? |
3 | 부속설비(배관, 밸브 등)와 전기계장설비(MCC, 계기, 경보기 등)에 대한 점검ㆍ검사ㆍ보수 계획, 유지계획이 작성되어 시행되고 있는가? |
4 | 비상가동정지 및 플레어스택 부하(Flar load) 관련 SIS(안전계장시스템) 설비는 별도로 적절하게 관리되고 있는가? |
5 | 위험설비의 유지ㆍ보수에 참여하는 근로자들에게 공정개요 및 위험성, 안전한 유지ㆍ보수작업을 위한 작업절차 등에 대하여 교육을 실시하는가? |
6 | 공정조건, 위험성평가 등을 고려한 중요도에 따라 위험설비의 등급을 구분하고, 이에 따라 점검 및 검사주기를 결정하여 관리하고 있는가? |
7 | 각 설비에 대한 검사기록을 관리하고 있는가? |
8 | 설비의 잔여수명을 관리하여 수명이 다한 설비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하거나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가? |
9 | 구매 사양서에 기기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재료의 최소두께, 비파괴검사, 열처리 및 수압시험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는가? |
10 | 설계사양과 제작자 지침에 따라 장치 및 설비가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는가? |
11 | 각 기기별로 유지ㆍ보수에 필요한 예비품 목록을 관리하고 있는가? |
12 | 설비의 정비이력을 기록ㆍ관리하고 이를 분석하여 예방정비에 활용하고 있는가? |
'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끼임재해원인 및 예방대책 (0) | 2022.09.16 |
---|---|
근골격계 구조와 기능 (0) | 2022.09.15 |
PSM 제3요소 (안전운전지침서) (0) | 2022.09.12 |
PSM 제2요소 (공정위험성 평가) (0) | 2022.09.09 |
PSM 제1요소 (공정안전자료) (0) | 2022.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