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결핵
- 응급처치
- PSM12대요소
- 생애주기별건강검진
- 컨베이어위험성
- 수공구재해예방대책
- 위험성평가
- 태풍피해
- PSM공정위험성평가
- 공정사고조사
- 가스감지경보기설치시주의사항
- 컨베이어위험성및안전작업방법
- PSM제11요소
- 작성자자격요건
- 산업안전관리필요성
- PSM제12대요소
- 화재의위험성및대피요령
- 비상조치계획
- psm
- 가스감지경보기
- 화재의위험성
- 공정위험성평가
- 공정안전보고서
- 가스감지기
- 코로나
- 코로나바이러스
- 공정안전보고서작성자자격요건
- 안전대책방안
- PSM제12요소
- 생애주기별국가건강검진
- Today
- Total
좌충우돌 털모자
PSM(공정안전관리) 본문
1. 개요
1) 공정 안전관리 제도는 사업장 내의 모든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과학적인 방법을 총동원하여 주요 위험 설비
내에 잠재된 위험성을 찾아내어 이 위험성을 제거하거나 사고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현 가능하고 경제적인
대안을 강구하여 시행하는 제도이다.
2) 공정 안전관리 제도의 주요 구성요소
① 제조공정 관련 기술자료 및 도면의 체계화
② 체계화된 자료를 바탕으로 공정 위험성 평가를 통한 필요한 조치 강구 및 시행
③ 안전 운전 절차․하도급 관리기준의 설정 및 시행을 통한 작업실 수의 최소화 강구
④ 설비의 완벽한 성능 유지를 위한 설계․제작․운전 및 정비기준의 제도화 실행
⑤ 사고 발생 시 피해 최소화를 위한 비상조치 계획수립 및 실천
⑥ 기타 각종 절차․기준 준수를 위한 전 종업원의 교육․훈련
⑦ 정기적인 자체 감사실시를 통한 공정 안전관리의 시행 확인 및 개선 등.
2. 공정 안전관리 내용
1) 공정 안전자료
공정 안전자료에는 사업장에서 저장․취급하고 있는 유해․위험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유해․위험설비 목록,
제조공정도면(PFD), 설비 운영 도면(P&ID) 등 사업장 내의 모든 정보를 말하며 공정 안전관리 제도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이다.
2) 공정 위험성 평가
공정 안전관리에서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위험성 평가이며, 이것은 공정 안전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사업장 내의 설비나
절차에 잠재된 제반 위험성을 찾아내어 대책을 수립․시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실시한다.
① 위험이 어떤 곳(공정․설비)에 있는가 ?
② 위험이 있다면 사고 발생 가능성은 있는가 ?
③ 사고가 발생하면 피해는 얼마나(어떻게) 되는가 ?
④ 이 위험의 제거나 발생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
⑤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은 무엇인가 ?
※ 위험성 평가 방법
- 기존 제조공정(반응, 중류 등 분리, 이송시스템, 전기, 계장시스템)
․ 위험과 운전분석 기법(HAZOP)
․ 공정 위험분석 기법(PROCESS HAZARD REVIEW)
․ 이상 위험도 분석 기법(FMECA)
․ 원인 결과 분석 기법(CCA)
․ 결할 수 분석 기법(FTA) 등
- 기존의 저장탱크, 유틸리티, 고체 건조․분쇄 설비 등
․ 체크리스트 기법(CHECKLIST)
․ 작업장 실수 분석 기법(HEA)
․ 사고 예상 질문 분석기법(WHAT-IF)
․ 위험과 운전분석 기법(HAZOP)
․ 상대 위험순위 결정 기법(DOW/MOND INDICES) 등
- 공정, 원료, 제품, 설비 등의 변경
․ 예비위험 분석 기법(PHA)
․ 사고 예상 질문 분석 기법(WHAT-IF)
․ 위험과 운전분석 기법(HAZOP)
․ 이상 위험도 분석 기법(FMECA) 등
- 신규 설치, 이전 사업장
․ 운전과 위험분석 기법(HAZOP)
․ 이상 위험도 분석 기법(FMECA)
․ 원인 결과 분석 기법(CCA)
․ 사건 수 분석 기법(ETA)
․ 결할 수 분석 기법(FTA) 등
3) 위험 설비의 품질과 안전성 확보
① 압력용기와 저장탱크 설비
② 배관계통 설비
③ 압력방출계통 설비
④ 비상정지 계통 설비
⑤ 계측제어설비 등
※ 이들 설비는 엄격한 안전기준(설계․설치․운전․보수 등)에 의해 관리되어야 한다.
4) 안전 운전지침, 안전 작업허가 등 (안전 운전계획)
안전 운전지침, 설비검사 및 유지관리 지침, 안전 작업 허가 지침, 협력엋체 안전관리 지침, 근로자 교육 훈련지침,
가동 전 점검 지침, 변경 관리 지침, 자체 감사지침, 공정하고 조사지침, 유해․위험설비 등의 안전 운전을 위한 안전 운전
지침서, 공정 지역 등에서의 화기 작업 시의 안 전자업 허가, 하도급업체의 안전관리계획 및 근로자의 교육계획 등이다.
5) 비상시 조치계획
위험성 평가를 철저히 시행하고 필요한 모든 조처를 했다 하더라도, 예상치 않은 상황과 원인에 의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위험물을 취급하는 공정에서의 사고는 화재․폭발 또는 위험물질의 누출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비상조치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 공정 안전관리 제도의 내용
3. 공정 안전관리(PSM) 제도 시행 효과
석유․화학공장 등의 장치산업의 경우는 시스템으로 구성된 연속공정이기 때문에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엄청난 인적․물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므로, 종전에 개별기계․기구의 점검 위주로 안전관리를 해오던 것을 바꾸어서 PSM은 제조공정별로
위험성을 평가하여 안전대책을 수립도록 하는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중대 산업사고 예방기법이다.
* ILO, UNEP, OECD 등 국제기구에서 협약이나 지침으로 회원국에 PSM을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미국, EU, 대만
등에서는 이미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96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1) 재해감소
PSM 대상 사업장은 정유, 석유, 농약 등 화학공장과 같이 위험물을 대량 취급하는 사업장 357개소이며, 매년 보유
설비의 25%씩만 시행하고 있음에 불구하고 재해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
- '97년 PSM 시행 사업장은 96년과 비교하여 사망자 28%, 재해자 33%, 사고 82% 감소.
- 미국은 1992년도에 PSM을 도입한 이후 지난 30년간의 주요 100대 대형 재해를 분석해본 결과 PSM 도입 전 5년과
비교하여 PSM 도입 후 5년 동안 42%의 대형 재해 감소 효과를 가져왔다.
2) 재산 손실 감소
종전에 사고로 인해 설비 파손 등이 발생하여 이를 개조하거나 교체하는 데 따른 재산손실이 막대하였으나 PSM 시행
으로 재산 손실이 현격히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 SK(유공)의 경우 92년과 93년에는 연간 40억원, 95년에는 68억원의 재산 손실이 있었으나, PSM 시행 초기 연도인
96년에는 재산 손실이 16억원으로 감소하여 연간 50여억위 경제 이익 효과를 가져왔다.
3) 재보험 문제 해결
'91년부터 국내 정유, 석유화학 공장에서 대형 사고가 빈발하여 영국의 시그마(Cigna) 회사 등 외국 재보험사들의
국내 영업손실이 극심함에 따라 '94년부터 국내 회사의 재보험 가입을 거부하거나 보험료율을 인상토록 요구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재보험문제 때문에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로부터 공단이 개입하여 해결해 달라고 요청해 옴에 따라
(석화 협(업) 제272호, '93.9.8) 공단은 2회에 걸쳐 시고 나사와 회의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공단이 제시한 사업추진
계획대로 실행된다면 시고 나사의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시고 나사의 요구조건
① 안전기준의 실행을 감독할 공식적인 독립기구 설립
② 종합적 중대 산업 사고 예방(HAZOP 등) 체계 등 위험관리체계 정비
③ 국제적 안전기준(NFPA 등)에 준하는 안전기준 도입 및 준수 의무화
'94년부터 PSM 기법을 국내에 보급하여 '96년부터 시행함에 따라 재보험사들의 요구가 충족되었고, 따라서 국내
재보험 가입 문제는 자동 해결되었음. 오히려 '96년부터는 외국 재보험사들이 국내 업체들에 재보험 가입을 유도하기
위해 적극 활동 중에 있고 대다수 국내 업체에서는 재보험사에 보험요율인하를 요청하고 있다.
4) 가동정지 횟수 감소
연속공정으로 구성된 장치산업의 경우는 한 개의 설비가 고장을 일으켜 도제조공정 전체가 가동이 중지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PSM 시행으로 가동 중지 횟수가 현격히 감소하였다.
- 삼성정밀화학(울산시 소재)의 경우 PSM 시행 이전에는 공정 사고로 인하여 매년 5회 이상 가동이 중단되었으나 PSM
시행 이후는 무사고를 달성하여 가동 중단이 전무하다.
5) 해외 플랜트 수출 능력 향상 및 외화 절감
PSM 시행으로 PSM의 핵심 요소인 위험성 평가기법(HAZOP)이 국내에 자동으로 보급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 업체가 플랜트 수출 시 외국 발주회사들이 요구하고 있는 위험성 평가 (HAZOP) 업무를 국내
기술진에 의해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어 해외 플랜트 수주 능력이 향상되었고, PSM 시행 이전에 위험성 평가
업무를 외국 회사에 용역을 주어 처리하던 것을 국내 기술진에 의해 수행할 수 있게 되어 PSM 시행으로 약 6백4십만불
의 외화 절감 효과를 가져오게 되었으며, 부수적으로 고용을 증대하는 결과도 가져오게 되었다.
6) 생산성 및 품질향상
PSM 제도 시행으로 공정개선 기술 및 위험성 평가 기술이 향상되어 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동시에 생산성과 품질이
향상되어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다.
- PSM 시행 이후 사업장 설문조사( 97. 7월) 결과 응답자의 83%가 기술자료의 체계 정립으로 기술이 향상되었고,
98%가 생산성 향상에 그리고 96%가 품질향상에 기여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처치(1) (0) | 2022.09.04 |
---|---|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0) | 2022.09.04 |
화물연대 파업배경, 영향 및 대책 (0) | 2022.09.03 |
산업안전관리 필요성 및 안전대책 방안(2) (0) | 2022.09.03 |
중대 재해 처벌법 (0) | 2022.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