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생애주기별건강검진
- psm
- 안전대책방안
- 화재의위험성
- 작성자자격요건
- PSM제11요소
- PSM공정위험성평가
- 비상조치계획
- 공정안전보고서
- 가스감지기
- 가스감지경보기설치시주의사항
- 공정사고조사
- PSM12대요소
- 태풍피해
- 가스감지경보기
- 응급처치
- 컨베이어위험성
- PSM제12대요소
- 공정위험성평가
- 코로나바이러스
- 위험성평가
- 코로나
- 수공구재해예방대책
- 공정안전보고서작성자자격요건
- 결핵
- 컨베이어위험성및안전작업방법
- PSM제12요소
- 생애주기별국가건강검진
- 화재의위험성및대피요령
- 산업안전관리필요성
- Today
- Total
좌충우돌 털모자
PSM 공정 위험성평가 기법 본문
공정 위험성 평가는 해당 공정의 특성을 고려해 잠재된 위험을 위험성 평가 기법 중 한 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위험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작성한다. 사고 예방·피해 최소화 대책에 대해서는 위험성평가 결과에 따라 잠재 위험이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만 작성한다. 공정 위험성 평가는 잠재 위험에 대한 개선 계획을 세워 공정에서 일어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공정 위험성 평가서 작성 시 포함할 사항
1. 위험성 평가의 목적
2. 공정 위험 특성
3. 위험성 평가결과에 따른 잠재위험의 종류 등
4. 위험성 평가 결과에 따른 사고빈도 최소화 및 사고 시의 피해 최소화 대책 등
5. 기법을 이용한 위험성 평가 보고서
6. 위험성 평가 수행자 등
● 공정 위험성 평가서를 작성할 시에는 공정상에 잠재하고 있는 위험을 그 특성별로 구분하여 작성하여야 하고, 잠재된 공정 위험 특성에 대하여 필요한 방호방법과 안전 시스템을 작성하여야 한다.
● 선정된 위험성 평가 기법에 의한 평가 결과는 잠재 위험의 높은 순위별로 작성하여야 한다.
● 잠재 위험 순위는 사고빈도 및 그 결과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한다.
● 기존 설비에 대해 이미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에 따른 필요한 조치를 하고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변경된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이미 실시한 공정 위험성 평가서로 대치할 수 있다.
● 사업주는 공정 위험성 평가 외에 화학 설비 등의 설치, 개·보수, 촉매 등의 교체 등 각종 작업에 관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고용노동부고시 '사업장 위험성 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라 작업 안전 분석기법 등을 활용하여 위험성 평가 실시 규정을 별도로 마련해야 한다.
공정 위험성 평가 기법
사업장 내에 존재하는 위험에 대하여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위험성 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체크리스트 기법, 상대 위험순위 결정 기법, 작업자 실수 분석 기법, 사고예상 질문 분석 기법, 위험과 운전분석 기법, 이상 위험도 분석 기법, 결함수 분석 기법, 사건수 분석 기법, 원인 결과 분석 기법, 예비위험 분석 기법, 공정 위험 분석 기법, 공정안정성 분석 기법, 방호계층 분석 기법 등을 말한다.
◑ 체크리스트(Checklist) 기법
공정 및 설비의 오류, 결함 상태, 위험 상황 등을 목록화한 형태로 작성하여 경험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위험성을 파악하는 방법을 말한다.
◑ 상대 위험 순위 결정(Dow and Mond Indices, DMI) 기법
공정 및 설비에 존재하는 위험에 대하여 상대위험 순위를 수치로 지표화하여 그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방법을 말한다.
◑ 작업자 실수 분석(Human Error Analysis, HEA) 기법
설비의 운전원, 보수반원, 기술자 등의 실수에 의해 작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평가하고 그 실수의 원인을 파악․추적하여 정량적으로 실수의 상대적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 사고 예상 질문 분석(What-if) 기법
공정에 잠재하고 있는 위험 요소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예상 질문을 통하여 확인·예측하여 공정의 위험성 및 사고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는 방법을 말한다.
◑ 위험과 운전분석(Hazard and Operability Studies, HAZOP) 기법
공정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들과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운전상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그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을 말한다.
◑ 이상 위험도 분석(Failure Modes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FMECA) 기법
공정 및 설비의 고장의 형태 및 영향, 고장 형태별 위험도 순위 등을 결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 결함수 분석(Fault Tree Analysis, FTA) 기법
사고의 원인이 되는 장치의 이상이나 고장의 다양한 조합 및 작업자 실수 원인을 연역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 사건수 분석(Event Tree Analysis, ETA)기법
초기사건으로 알려진 특정한 장치 이상 또는 운전자의 실수에 의해 발생 되는 잠재적인 사고 결과를 정량적으로 평가․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 원인 결과 분석(Cause-Consequence Analysis, CCA)기법
잠재된 사고의 결과 및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고 사고 결과와 원인 사이의 상호 관계를 예측하여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말한다.
◑ 비 위험 분석(Preliminary Hazard Analysis, PHA)기법
공정 또는 설비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없는 상황에서 위험물질과 공정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초기위험을 확인하는 방법을 말한다.
◑ 공정 위험 분석(Process Hazard Review, PHR)기법
기존 설비 또는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심사 받은 설비에 대하여 설비의 설계․건설․운전 및 정비의 경험을 바탕으로 위험성을 평가․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 공정 안전성 분석 기법(K-PSR, KOSHA Process safety review)
설치․가동 중인 화학공장의 공정 안전성을 재검토하여 사고 위험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 방호계층 분석 기법(Layer of protection analysis, LOPA)
사고의 빈도나 강도를 감소시키는 독립 방호 계층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말한다.
◑ 작업 안전 분석 기법(Job Safety Analysis, JSA)
특정한 작업을 주요 단계(Key step)로 구분하여 각 단계 별 유해위험요인(Hazards)과 잠재적인 사고(Accidents)를 파악하여 이를 제거, 최소화 또는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개발하기 위해 작업을 연구하는 방법을 말한다.
'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떨어짐 재해 원인과 예방대책 (0) | 2022.09.30 |
---|---|
PSM 제10요소 (자체 감사 계획) (0) | 2022.09.29 |
PSM 제9요소 (변경 요소 관리계획) (0) | 2022.09.27 |
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0) | 2022.09.26 |
PSM 제8요소 (가동 전 점검지침)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