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정안전보고서
- 가스감지기
- 위험성평가
- 컨베이어위험성
- 컨베이어위험성및안전작업방법
- 산업안전관리필요성
- 공정안전보고서작성자자격요건
- PSM제11요소
- 공정위험성평가
- 생애주기별국가건강검진
- 안전대책방안
- 코로나
- 가스감지경보기설치시주의사항
- PSM제12요소
- 화재의위험성및대피요령
- 비상조치계획
- 결핵
- PSM12대요소
- 화재의위험성
- psm
- 수공구재해예방대책
- 가스감지경보기
- 코로나바이러스
- PSM제12대요소
- PSM공정위험성평가
- 생애주기별건강검진
- 응급처치
- 작성자자격요건
- 태풍피해
- 공정사고조사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1)
좌충우돌 털모자

가스검지 및 경보장치 선정 1. 사업장의 유해화학물질 별 감지기의 감지성능이 감지가 되는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 ● 예를 들면 인화성 VOC에만 적응성이 있는 감지기를 독성물질 사용장소에 적용하면 적응성이 없어 추가 설치해야 한다. 즉, 대부분의 경우 인화성은 탄화수소 계열로 공통이 가능하지만 독성의 경우 독성물질별로 설치해야 한다. ● 취급물질별 분류를 통하여 감지기 적응성을 검토해 놓은 자료를 가지고 있어야 추후 지속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2. 인화성액체, 가연성가스, 인화성갓스의 사용장소에는 방폭형을 선정하며, 취급물질의 발화온도와 방폭등급을 확인 하여야 한다. ● 방폭구역의 설정은 중요한 사항으로 설계 단계에서 폭발위험지역 구분도를 작성하여 이에 준한 전기, 계기 방폭 설비를 설치하여야 하고, 전..

컨베이어의 정의 컨베이어란 재료ㆍ반제품ㆍ화물 등을 동력에 의하여 단속 또는 연속 운반하는 기계장치를 말하며, 주요구조부는 구동장치, 벨트, 체인 등 이송장치, 지지기둥 또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의 종류 ● 벨트 컨베이어 : 고무재질, 강철 등의 벨트로 물체를 연속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 ● 체인 컨베이어 : 체인을 이용하여 물체를 연속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 ● 스크류 컨베이어 : 운반하는 컨베이어 나사를 회전시켜 물체를 이동시키 는 컨베이어 ● 버킷 컨베이어 : 쇠사슬이나 벨트에 달린 버킷을 이 용하여 물체를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 ● 롤러 컨베이어 :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여러 개의 롤러를 이용하여 물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 ● 트롤리 컨베이어 : 공장 내의 천장에 설치된..

공정안전보고서 작성자 자격 요건 제6조(작성자) ① 사업주는 보고서를 작성할 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서 공단이 실시하는 관련교육을 28시간 이상 이수한 사람 1명 이상을 포함시켜야 한다. 1. 기계, 금속, 화공, 요업, 전기, 전자, 안전관리 또는 환경분야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2. 기계, 전기 또는 화공안전 분야의 산업안전지도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3. 제1호에 따른 관련분야의 기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으로서 해당 분야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4. 제1호에 따른 관련분야의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으로서 해당 분야에서 7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5. 4년제 이공계 대학을 졸업한 후 해당 분야에서 7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또는 2년제 이공..

화재의 정의 화재란? 사람의 의도 또는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 사회공익을 해치거나 경제적인 손실 및 인명 피해를 가져오기 쉬우므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를 필요로 하는 상황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을 말한다. 화재의 조건 ● 불자리가 아닌 장소에서 발생하거나 불자리를 벗어나서 발생한 우발적인 것 ● 불에 의한 연소 작용이 있을 것 ● 인명에 피해를 주거나, 재물을 소실시켜 손해를 초래시킬 것 화재의 종류 등급 및 종류 A급(일반화재) B급(유류화재) C급(전기화재) D급(금속화재) K급(주방화재) 원인 ◇ 일반적인 화기의 취급부주의 ◇ 기타 고의에 의한 방화 및 타다 남은 불티 관리 미흡 ◇연소기구의 전도에 의한 발화 ◇ 연소기구의 과열 ◇ 유증기와 공기의 조성이 폭발범위를 형성한 상태에..

PSM 제12요소 (비상 조치 계획의 작성) 1. 관련 법규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ㆍ심사ㆍ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 2. 보고서 작성 기준 제40조(비상 조치 계획의 작성) 규칙 제50조 제1항 제4호의 비상 조치 계획은 다음 각호의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목적 2. 적용 범위 3. 공정 사고 조사팀의 구성 4. 공정 사고 조사 보고서의 작성 5. 공정 사고 조사 결과의 처리 6. 평가 및 시정 7. 문서화 등 1. 목적 2. 비상사태의 구분 3. 위험성 및 재해의 파악 분석 4. 유해․위험물질의 성상 조사 5. 비상조치계획의 수립(최악 및 대안의 사고 시나리오의 피해예측 결과를 구체적으로 반영한 대응계획을 포함한다) 6. 비상조치 계획의 검토 7. 비상..

수공구란? 작업자가 제작ㆍ보수ㆍ수리 등 인력에 의한 작업을 할 때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도구를 말하며,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용도에 적합하지 않게 사용하거나 올바른 사용법에 의한 사용이 되지 아니할 경우 재해의 위험이 있어 반드시 사용법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하여야 한다. 수공구의 종류 ● 드라이버 작은 나사, 나사 못 등을 죄고 푸는데 사용 ● 펜치 동선류 또는 철선류를 잡고 구부리거나 자르는데 사용 ● 스패너 볼트, 너트 또는 나사의 조립 또는 분해에 사용 ● 커터칼 종이 등을 자르는 작업에 사용 ● 줄 금속을 다듬질 할 때 사용 ● 톱 쇠 등을 자르는 작업에 사용 ● 가위 절단 및 재단 작업에 사용 ● 망치 철공, 목공, 토공작업 등에 사용 ● 끌 금속의 모양을 ..

PSM 제11요소 (공정 사고 조사 계획) 1. 관련 법규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ㆍ심사ㆍ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 2. 보고서 작성 기준 제39조(공정 사고 조사 계획) 규칙 제50조 제1항 제3호 아목의 사고조사 계획은 다음 각호의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목적 2. 적용 범위 3. 공정 사고 조사팀의 구성 4. 공정 사고 조사 보고서의 작성 5. 공정 사고 조사 결과의 처리 6. 평가 및 시정 7. 문서화 등 3. 보고서 심사기준 제52조(공정 사고 조사) 중대 산업 사고가 발생하거나 중대 산업 사고를 일으킬 요인을 제공할 수 있는 공정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업주가 사고 조사를 실시 하고 있는지를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심사하여야 한다. 1. 공정 ..

떨어짐 재해 통계 및 법적 기준 2021년 12월 말 산업재해 발생 현황 1. 사고사망자 - 재해 유형 : 떨어짐(351명, 전년 동기대비 7.0% 증가) 2. 사고재해자 - 재해 유형 : 떨어짐(14,775명, 전년 동기대비 2.6% 증가) -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2~2020년 제조업은 24명, 기타 13명이다. 사망사고 유형을 보면 작업대에서 떨어져 숨진 사고(제조ㆍ건설업 84명)가 가장 건수도 많았고, 끼임 사고(36명), 넘어짐 사고(21명) 등이 뒤를 이었다. 떨어짐 재해 관련 법적 기준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0조(계단의 난간) ● 사업주는 높이 1미터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조(보호구의 지급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