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충우돌 털모자

수공구 사용에 의한 재해 예방 대책 본문

안전.보건

수공구 사용에 의한 재해 예방 대책

좌충우돌 털모자 2022. 10. 2. 07:00
반응형

    수공구란?

작업자가 제작ㆍ보수ㆍ수리 등 인력에 의한 작업을 할 때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도구를 말하며,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용도에 적합하지 않게 사용하거나 올바른 사용법에 의한 사용이 되지 아니할 경우 재해의
위험이 있어 반드시 사용법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하여야 한다.

    수공구의 종류

● 드라이버 

작은 나사, 나사 못 등을 죄고 푸는데 사용

● 펜치

동선류 또는 철선류를 잡고 구부리거나 자르는데 사용

● 스패너

볼트, 너트 또는 나사의 조립 또는 분해에 사용

● 커터칼

종이 등을 자르는 작업에 사용

● 줄

금속을 다듬질 할 때 사용

● 톱

쇠 등을 자르는 작업에 사용

● 가위

절단 및 재단 작업에 사용

● 망치

철공, 목공, 토공작업 등에 사용

● 끌

금속의 모양을 깍아 만들거나 절삭하는데 사용

● 플라이어

물건의 크기에 따라 물림부의 벌림을 바꿀 수 있고 물림부의 안쪽에서 선재를 자를 수 있는 날 부위를 가졌거나, 구부림, 고정 등에 사용

● 렌치

볼트ㆍ너트 또는 나사를 조이거나 풀 때 사용하는 입의 벌림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멍키 렌치 및 파이프에 사용되는 파이프렌치 등에 사용

● 클램프

가공물을 단단하게 한 자리에 일시 고정시키는 사용

    수공구의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위험요인

▶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수공구를 사용 중 무게중심을 잃고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경우
▶ 망치 등 타격공구 손잡이가 헐겁거나, 금이 가고 쪼개져서 사용 중 망치머리가 비래(飛來)하는 경우
▶ 끌을 드라이버 대용으로 사용하는 등 수공구 설계기준을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 가공물, 파편의 비래 또는 제품 결속용 밴드 해체시 튕김이 발생하는 경우
▶ 작업장 내 정리정돈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통로 등에 방치된 수공구에 걸려 넘어지는 경우

    안전대책

▶ 작업의 형태, 대상물의 특성, 작업자의 체력 등을 고려하여 공구의 종류와 크기를 선택한다.
▶ 올바른 사용방법을 숙지하도록 반복훈련을 실시한다.
▶ 가공물, 파편의 비래가 발생할 수 있는 장소에는 방호판을 설치한다.
▶ 작업자는 보안경, 안면보호구 등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
▶ 고소작업 시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안전대를 착용한다.
▶ 손잡이 체결상태 및 수공구의 마모, 변형상태를 점검한다.
▶ 손잡이의 기름 등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상 유무 확인 후 사용한다.
▶ 인화성 물질이 있는 곳에서 스파크를 발생할 수 있는 철 등으로 된 타격공구를 사용하면 점화원이 될 수 있으므로 황동,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나무로 된 수공구를 사용한다.

 

1. 조립 수공구 (렌치, 드라이버, 플라이어 등)

가. 위험요인

▶ 드라이버 끝의 마모, 떨어짐, 구부러짐, 무딤, 손잡이의 파손, 이가 빠진 경우
▶ 끌이나 펀치 대신 드라이버를 사용하거나 한 손으로 물품을 들고 드라이버를 조작하거나 부적당한 치수의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경우
▶ 조정 나사의 망가짐, 조이는 부분의 이가 마모 또는 빠진 경우
▶ 부적당한 형상 또는 치수의 렌치를 사용, 파이프를 손잡이에 집어넣어 사용하는 경우
▶  플라이어를 망치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 경화된 철사를 자르거나, 단단한 철사를 구부리는 경우

나. 안전대책

▶ 렌치 등 미끄러지지 않도록 정확히 입의 물림면을 조인 후 사용하고 렌치 홈에 쐐기를 삽입하지 않도록 한다.
▶ 렌치, 플라이어 등은 큰 힘을 얻기 위해 파이프 등을 끼워 길이를 연장하거나 망치 등 다른 공구로 두드리지 않도록 한다.
▶ 손가락이 끼이지 않도록 손잡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 공구를 선택한다.
▶ 렌치, 플라이어 등은 밀지 말고 끌어당기는 상태로 작업한다.
▶ 너트와 볼트작업에는 플라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렌치를 사용한다.
▶ 플라이어 등은 과중한 열에 노출 시키지 않도록 한다.
▶ 플라이어 등은 규칙적으로 중심점에 기름을 바른 후 사용한다.
▶ 드라이버 홈의 폭과 길이가 같은 날을 사용한다.
▶ 드라이버 날 끝이 수평을 이루어야 하며, 둥글거나 빠진 것은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드라이버 손잡이에 대하여 축이 수직으로 된 것을 사용하고 날 끝이 홈에 맞지 않을 때에는 임의로 교정하지 않는다.
▶ 드라이버로 전기작업을 할 때에는 절연손잡이로 된 드라이버를 사용한다.
▶ 손이 잘 닿지 않거나 불편한 곳에서 나사를 돌리기 시작 할 때에는 나사가 자석에 붙는 드라이버를 사용한다.
▶ 한 손으로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 다른 손으로 나사를 잡지 않도록 한다.

 

2. 절단 수공구 (칼, 톱, 가위, 끌 등)

가. 위험요인

▶ 날의 무딤 또는 마모된 손잡이를 사용하는 경우
▶ 위험장소에 두거나 칼집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 손잡이가 없고, 줄의 면이 타 물질로 메꾸어지거나 둔한 경우
▶ 펀치 대신으로 사용 또는 망치를 가지고 줄을 두드릴 경우
▶ 톱의 날이 무디고 손잡이가 빠진 경우
▶ 톱날의 가로와 세로를 혼동하여 사용하거나 톱질할 때에 날 길이의 일부를 사용한 경우
▶ 절단을 위해 손의 힘을 사용하지 않고 발 등을 사용하는 경우
▶ 사용 중인 가위에 비해 너무 두껍거나 무거운 금속을 절단하는 경우

나. 안전대책

▶ 수직방향으로 절단하고 가공물이 튀지 않도록 절단부 주위를 마대자루, 천 등으로 방호한다.
▶ 제품 결속용 밴드해체 시 충돌되지 않도록 작업자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타 작업자 접근을 통제한다.
▶ 절단공구를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 앞쪽으로 절단하지 않도록 한다.
▶ 톱은 잘리는 나무에 못, 옹이 또는 톱을 손상시키거나 휘어지게 하는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하고 사용한다.

▶ 톱날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천천히 베기 시작하고, 톱을 아래로 내릴 때만 압력을 가한다.
▶ 가위는 연한 금속을 자를 때만 사용하고 단단하거나 경화된 금속은 다른 절단공구를 사용한다.
▶ 오른손잡이가 가위를 사용할 경우 부스러기 등은 오른쪽에 놓이도록 절단하고, 왼손잡이의 경우는 부스러기 등이 왼쪽으로 놓이도록 절단한다.
▶ 가위의 너트와 중심 볼트가 항상 적절히 조정되어야 하며, 중심볼트는 수시로 기름을 바른다.
▶ 끌은 내리치는 면이 더 큰 나무나 플라스틱 망치 등을 사용한다.
▶ 끌 사용 시 나무에 마디, 꺽쇠, 나사, 못 등 다른 이물질이 있는지 작업 전 확인한다.
▶ 열처리된 끌 등은 교정하기 위해 동력연삭기를 사용하지 말고 숫돌을 사용한다.
▶ 강철 끌의 표면이 버섯 모양으로 퍼지거나 모서리 이가 빠진 것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3. 타격 수공구 (망치 등)

가. 위험요인

▶손잡이가 헐겁거나 빠져있으며 머리 부분이 꼭 끼어 있지 않은 경우
▶ 잘못된 형태의 망치를 사용하거나 한 손을 타격되는 바로 밑에다 놓인 경우

나. 안전대책

▶ 추락 위험장소에서 작업 시 작업발판설치 및 안전대를 착용한다.
▶ 2인이상 공동 작업 시 가공물 지지자는 손이 다치지 않도록 집게나 고정구를 이용한다.
 사용 시 헛치지 않도록 대상물의 표면보다 더 큰 직경의 망치 머리를 선택한다.
▶ 대형 망치의 경우 작업 전 신체를 충분히 이완시키고 균형을 잃지 않도록 편평한 바닥 위에서 안정된 자세로 작업한다.
▶ 작업에 맞는 무게의 망치를 사용하고, 한 두번 가볍게 친 다음에 사용한다.
▶ 미끄러짐 방지를 위하여 기름 묻은 손으로 손잡이를 잡지 않도록 하고, 장갑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짐이 없는 장갑을 착용한다.
▶ 협소한 장소, 발 딛는 장소가 나쁠 때, 작업이 끝나기 직전에 특히 유의하여 작업한다.
▶ 눈이나 신체일부에 파편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 벽돌 등 단단한 물질을 타격하지 않도록 한다.
▶ 금이 가고, 부러지고, 쪼개지고, 모서리가 날카롭거나 망치 머리에 헐겁게 끼워진 불안전한 손잡이는 폐기하고, 손잡이가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하여 사용한다.
▶ 타격하는 망치의 표면이 맞는 물체의 표면에 평행하도록 수직으로 내리치고 물체를 주시하여야 한다.
▶ 망치 머리가 패인 부분이 있거나 금이 간 것, 이가 빠진 자리, 버섯 모양으로 퍼진 상태, 또는 지나치게 마모된 망치 머리는 사용하지 말고 교체한다.

 

4. 고정 수공구 (클램프, 바이스 등)

가. 위험요인

▶ 클램프를 조이는데 전용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펜치, 파이프, 망치, 플라이어 등을 사용하는 경우
▶ 클램프를 가공물에 고정시켜 임시고정 도구로 사용하지 않고 장기 고정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 손의 힘을 초과하여 조이기 위해 망치 등으로 손잡이를 두드리는 경우
▶ 용접이나 납땜 등으로 바이스를 수리하는 경우

나. 안전대책

▶ 가공물을 들어 올리거나 작업발판, 가설비계 조립용으로 사용을 금지한다.
▶ 다른 공구, 보조 도구를 사용하여 가공물을 무리하게 고정시키지 말아야 한다.
▶ 클램프 형태와 크기는 작업에 따른 고정방법과 클램프 특성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한다.
▶ 바이스는 작업대나 지지대에 단단하게 설치하여야 하며 바이스 바닥의 모든 구멍에는 볼트를 채운다.
▶ 가공물을 변형시키지 않고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큰 바이스를 사용하여야 한다.
▶ 바이스를 꽉 조이기 위해 손잡이를 길게 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수공구 작업의 위험성

1. 작업자세에 의한 유해요인

가. 무릅을 굽히거나 쪼그리는 자세

나. 목, 허리, 손목 등을 과도하게 구부리거나 비트는 작업 자세

다. 팔꿈치를 반복적으로 머리 위 또는 어깨 위로 들어 올리는 작업자세

 

2. 수공구작업에 의한 건강장해

가. 손목터널 증후군

▶ 원인

■ 빠른 손동작을 반복할 때
■ 엄지와 검지를 자주 움직일 때
■ 빈번하게 손목이 꺾일 때
■ 손목에 힘을 주어 작업할 때

증상

■ 엄지, 검지, 중지 전체와 약지 안쪽 부위의 욱신거림
■ 손의 저림, 찌릿한 느낌
■ 물건을 쥐기 어려움

 

나. 방아쇠 수지 증후군

원인

수공구의 방아쇠를 자주 사용 할 때
 손가락을 구부려서 작업할 때
 충격, 진동이 심한 작업을 할 때

증상

손가락이 굽어져 움직이기 어려움
 손가락 첫째 마디에 통증

 

다. 건초염

원인

반복적이고 과도하게 작업을 수행할 때
장시간 손을 사용할 때

▶ 증상

인대나 인대를 둘러싼 건초(건막) 부위가 부음
 손이나 팔이 붓고 누르면 통증

 

라. 드퀘르병 건초염

▶ 원인

물건을 자주 집는 작업을 할 때
 손목을 자주 비틀 때
 반복 작업, 힘든 작업을 할 때

▶ 증상

엄지를 들어 올릴 때 통증
 손목과 엄지 사이가 부음
 손을 비트는 동작 수행 어려움

    수공구 선택 시 주의 사항

1. 손잡이

모양, 길이.지름, 보조손잡이, 재질

2. 무게

공구무게, 무게중심

3. 사용빈도

사용시간, 스프링 반동장치, 반복사용 정도

4. 작업자 특성

연령, 성별, 작업 자세, 근력, 신체적 특성

5. 기타

안정성, 진동, 장갑 착용, 작업 다양성, 휴식시간, 교육·훈련

    수공구 사용을 위한 스트레칭

1. 손바닥·손등이 위로 향하게 뻗은 후 다른 손으로 천천히 누른다(10초).

2. 손바닥을 곧게 피고, 엄지를 세운 채 손가락을 접었다 펴준다(20회).

3. 주먹을 쥔 손을 안과 밖으로 돌려 준다(각 10회).

4. 손을 곧게 편 상태에서 손을 위·아래로 움직여준다(10회).

5. 부드러운 공 등을 꽉 쥐었다 풀어준다(10초 유지).

6. 망치 등 수공구를 쥔 상태에서 손을 밖에서 안으로 돌려준다(10회).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