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충우돌 털모자

컨베이어 위험성 및 안전 작업 방법 본문

안전.보건

컨베이어 위험성 및 안전 작업 방법

좌충우돌 털모자 2022. 10. 6. 04:51
반응형

   컨베이어의 정의

컨베이어란 재료ㆍ반제품ㆍ화물 등을 동력에 의하여 단속 또는 연속 운반하는 기계장치를 말하며, 주요구조부는 구동장치, 벨트, 체인 등 이송장치, 지지기둥 또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의 종류

● 벨트 컨베이어 : 고무재질, 강철 등의 벨트로 물체를 연속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

● 체인 컨베이어 : 체인을 이용하여 물체를 연속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

● 스크류 컨베이어 : 운반하는 컨베이어 나사를 회전시켜 물체를 이동시키 는 컨베이어

● 버킷 컨베이어 : 쇠사슬이나 벨트에 달린 버킷을 이 용하여 물체를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

● 롤러 컨베이어 :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여러 개의 롤러를 이용하여 물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

● 트롤리 컨베이어 : 공장 내의 천장에 설치된 레일 위 를 이동하는 트롤리에 물건을 매달 아서 운반하는 컨베이어

   컨베이어의 종류

   벨트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는 하물을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설비로서 폭이 넓은 벨트 위에 하물이 적재되며, 벨트의 양 끝에 설치된 풀리의 회전에 의하여 하물이 운반되는 장치이다. 고정식과 이동식이 있는 컨베이어의 양쪽 끝 부위에는 손이 말려들어갈 위험이 있으므로 덮개를 부착하고 또 긴급정지가 가능하도록 가까운 장소에 비상정지스위치를 설치한다.

 

※ 벨트 컨베이어의 위험성 및 안전대책

위험성 ○ 벨트 컨베이어 하부 작업(청소) 시 끼임 위험
○ 컨베이어의 회전체(롤러 등)의 수리ㆍ보수ㆍ교환 작업시 끼임 위험
○ 구동모터 등 전기 누전에 의한 감전위험
안전대책 ○ 점검 시에는 중앙운전실에 연락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 전원스위치 키(key)는 작업자가 휴대하고 『점검 중』 임을 알리는 표지판을 설치한다.
○ 퇴적 및 침적물이 최소화 되도록 스크레이퍼(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구)의 상태를 점검하고 간격을 조정한다.
○ 벨트의 손상, 마모, 롤러의 파손 및 비회전, 비상정지 장치 운반물의 적재 적정성 등을 점검하고 항상 정상을 유지토록 관리한다.
○ 청소, 점검 시 안전모, 안전화, 방진마스크 등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

   체인 컨베이어 / 버킷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는 두 줄의 체인을 평행으로 순환시키고 그 사이에 강판 등을 고정하여 그 위에 운반물을 놓고 운반하는 컨베이어이다. 벨트 컨베이어에 비해 내구력이 큰 장점이 있지만, 컨베이어 자체 중량이 무거워 설치 시 어려움이 있다.

버킷 컨베이어는 버킷을 사용하여 급경사 또는 수직으로 하물을 연속으로 운반하는 장치로 컨베이어 체인에 버킷이 장착되고 상부의 체인 바퀴가 회전함으로써 하부에서 투입된 하물을 상부로 운반하여 배출하는 구조의 컨베이어이다.

 

※ 체인 컨베이어 / 버킷 컨베이어의 위험성 및 안전대책

위험성 ○ 컨베이어의 구동 회전축에 접근 시 끼임 위험
○ 컨베이어로 운반 중인 적재물 떨어짐 위험
○ 작업복(소매단, 바지 자락 등)에 말림 위험
안전대책 ○ 컨베이어의 구동 회전축 등 위험 부위에는 덮개ㆍ울ㆍ건널다리 등을 설치하여 작업자 등에게 위험이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위험구역에서 접근이 용이한 곳에 비상정지장치 설치 및 각종 성능 테스트를 위한 점검대를 설치한다.
○ 운전 시작 전 작업자 배치 및 교육, 작업방법, 방호조치 등에 대한 사항을 미리 확인하고 위험방지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한다.
○ 체인, 구동 회전축 등에 작업자의 신체가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작업복 착용상태를 확인한다.

   스크류 컨베이어

스크류 컨베이어는 U자형의 트로프 또는 원통 케이싱 내에서 나사모양의 날개를 회전시키는 구조로서, 트로프 속에 공급된 운반물의 자중과 날개회전에 의한 추진력을 이용하여 날개의 면을 따라 운반물을 이송시키는 기계이다. 스크류 컨베이어 내의 운반물은 날개와 케이싱 사이를 미끄러져 나가므로 점착성이 강한 것, 입도가 큰 것, 경도가 높고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진 것 등은 운반이 곤란하고 효율이 낮으므로 대용량, 장거리 수송에는 부적합하다. 그러나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분진발생이 없으므로 분리체의 단거리 수송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홈 통속에 설치된 축에 부착된 나선형의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곡물, 시멘트, 석탄, 분말, 슬러리, 펠렛형상의 물질 등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기계장치로서 스크류, 트로프, 전동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스크류 컨베이어의 위험성 및 안전대책

위험성 스크류 컨베이어 임펠러에 의한 끼임 위험
○ 정비·보수작업 시 다른 근로자의 오조작에 의한 위험
○ 점검ㆍ수리작업 시 날개 등에 신체의 일부분이 끼임 위험
○ 기동 중인 트로프 내부 중간베어링 급유 시 끼임 위험
○ 스크류 컨베이어 주변 작업 시 안전난간 미설치 등으로 인해 떨어짐 재해발생위험
○ 스크류 컨베이어 청소용 맨홀에 부딪힘 위험
안전대책 작동 중인 스크류 컨베이어로의 출입을 통제한다.
○ 안전 Tag(작동금지 표지 등) 부착 및 잠금장치를 설치한다.
○ 작업개시 전 전원차단 상태를 반드시 확인한다.
○ 중간베어링 주유 시 설비 기동 정지 후 실시한다.
○ 스크류 컨베이어 보수, 정비 작업 중 떨어짐 방지조치를 시행한다. (떨어짐 위험이 있는 장소의 설비 보수, 정비, 조정 작업이 필요한 장소 주변에는 떨어짐 방지를 위한 안전난간 및 작업발판 설치한다.)
○ 청소 작업 중 맨홀 체결 볼트(Manhole Bolt) 상태를 수시로 확인한다.
○ 청소도구/작업공구 정리ㆍ정돈 상태를 확인한다.

   롤러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는 하나의 프레임에 의해 지탱되는 롤러로써 그 위로 수동, 중력, 동력에 의해 물체를 옮겨가는 장치이다. 일정거리 사이를 자동ㆍ연속적으로 재료나 물건을 운반하는 기계장치를 말하며, 롤러 컨베이어는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 롤러를 회전시켜서 그 위에 물건을 올려놓고 연속으로 운반하는 장치로 측면에 체인이 연결되어 전동기로 회전시켜서 구동한다.

 

※ 롤러 컨베이어의 위험성 및 안전대책

위험성 동력으로 작동되는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부 방호울 미설치로 끼임 위험
○ 방호울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작업 중 롤러, 체인 등 회전부에 끼임 위험
○ 이송중인 적재물 등이 떨어져 작업자의 발등에 떨어질 위험
○ 작업장 바닥에 자재, 수공구가 방치되어 있어 작업자 이동 중 넘어짐 위험
○ 전기기계기구 충전부 노출 및 절연파괴로 인한 전기누전위험
안전대책 컨베이어의 롤러, 체인 등 구동부 및 동력전달부에 방호덮개 설치 및 유지 관리한다.
○ 감김ㆍ끼임 방지용 방호가드, 덮개, 또는 울타리를 설치한다.
○ 컨베이어 위험노출에 따른 긴급 대응을 위한 비상정지스위치를 설치한다.
○ 정비, 점검 등을 위하여 방호덮개 또는 안전난간을 개방 시, 작업지휘자에 지도에 따라 작업한다.
○ 컨베이어 이송라인 하부는 주기적인 청소 및 정리정돈 상태를 유지한다.
○ 안전화, 안전모 등 작업조건에 맞는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 
○ 전기기계기구 충전부 접촉방지를 위한 방호덮개 설치, 접지 실시, 절연 조치 등 실시한다.

   트롤리 컨베이어

트롤리 컨베이어는 상부 트롤리를 공장 내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통해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걸고 전동기로 회전시켜서 구동하여 일정거리 사이를 자동ㆍ연속적으로 재료나 물건을 운반하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 트롤리 컨베이어의 위험성 및 안전대책

위험성 컨베이어 수리, 정비 작업 시 다른 작업자의 스위치 오조작에 의한 끼임ㆍ부딪힘 위험
○ 허용 하중을 초과하는 화물을 운반하여 트롤리에서의 행거 탈락 위험
○ 경사부에서의 이동 중 정지 또는 후진, 과속으로 인한 충돌 위험
○ 화물의 분기 또는 합류 중 화물간의 충돌로 인한 화물의 낙하 위험
○ 행거, 체인 등의 체결 불량으로 인한 화물의 낙하 위험
○ 트롤리에 운반 대상물을 걸어주는 작업 시 근골격계질환 발생 위험
안전대책 주라인 및 분기라인 구동장치에는 과부하방지장치를 설치한다.
○ 체인, 행거 및 트롤리는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상호 확실히 연결하여 사용한다.
○ 경사부에는 화물 또는 행거의 과속 또는 후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한다.
○ 트롤리가 경사부에서도 확실히 이동되도록 한다.
○ 분기장치, 합류장치 등의 레일 단락부에는 트롤리의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등의 장치를 설치한다.
○ 근로자가 화물 또는 행거와 충돌할 우려가 있는 통로에는 통로표시 및 주의표시 부착한다.
○ 필요한 경우 화물의 형상, 매다는 방법 등에 대한 주의사항을 보기 쉬운 곳에 표시하고 이것을 근로자에 주지 시킨다.

   컨베이어의 안전 작업 방법

   벨트 컨베이어

● 컨베이어의 이송속도를 임의로 변경 조작하지 않아야 한다.

● 운반물이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적재하여야 한다.

● 컨베이어는 운반물의 이동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 작업장, 통로는 수시로 정리정돈 및 청소를 하여야 한다.

● 컨베이어 담당자 이외에는 운전하여서는 안된다.

● 컨베이어의 수리 정비 작업 시에는 스위치에 시건 장치 또는「작업 중」표지판을 부착하여 다른 작업자의 스위치 오조작을 방지하여야 한다.

● 적재물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나 울이 파손된 것은 수리하여야 한다.

●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접지를 실시하여야 한다.

● 컨베이어의 전선의 정리 상태가 양호한지 확인한다.

● 컨베이어의 높이는 적정한지 확인한다.

● 조립컨베이어의 철재 외함에 찔리거나 베임의 위험은 없는지 확인한다.

● 장시간 서서 작업 시 근골격계에 부담에 대한 대책수립을 하여야 한다.

● 조립컨베이어에 비상정지버튼이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트롤리 컨베이어

● 컨베이어의 이송속도를 임의로 변경 조작하지 않아야 한다.

● 컨베이어는 운반물의 이동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 작업장, 통로는 수시로 정리정돈 및 청소를 하여야 한다.

● 컨베이어는 담당자 이외에는 운전하여서는 안 된다.

● 컨베이어의 수리 정비 작업 시에는 스위치에 시건 장치 또는「작업 중」표지판을 부착하여 다른 작업자의 스위치 오조작을 방지하여야 한다. ● 적재물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나 울이 파손된 것은 수리하여야 한다.

● 작업복을 단정히 하여 컨베이어에 협착되지 않도록 한다.

● 컨베이어는 설계 시의 사용목적 이외의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정지스위치 주위에는 장애물을 놓지 않는다.

● 제품의 공급에 있어서 컨베이어가 과부하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컨베이어의 청소, 급유, 검사, 수리 등의 보수작업을 함에 있어서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컨베이어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작동하지 않도록 조치한다.

● 제품의 형상, 권상 방법 등의 안내사항을 보기 쉬운 곳에 게시한다.

   스크류 컨베이어

● 정전ㆍ전압강하 등에 따른 화물 또는 운반구의 이탈 및 역주행을 방지하는 장치를 설치한다.

● 근로자의 신체 일부가 말려드는 등 위험 우려가 있는 경우 및 비상 시 즉시 컨베이어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한다.

● 컨베이어의 수리 정비 작업 시에는 스위치에 시건 장치 또는「작업 중」표지판을 부착하여 다른 작업자의 스위치 오조작을 방지하여야 한다. ● 가동 중 청소, 수리, 보수 등의 작업 금지한다.

● 스크류 컨베이어의 운전은 반드시 지정된 자만이 실시한다.

● 설비를 가동하기 전에 설비의 외관상태 및 트로프 방호덮개, 연동장치, 호퍼 그물철망, Key 스위치 등의 안전장치 작동상태를 확인한다.

● 운전 중 이상음ㆍ진동ㆍ발열 등의 이상 발견 시 운전을 중지하고 즉시 담당자에게 연락하여 고장 수리 후 운전하여야 한다.

● 작업 종료 후 모든 전원을 차단하고 기동스위치의 Key는 작업책임자가 보관한다.

   롤러 컨베이어

● 근로자의 신체 일부가 말려드는 등 위험 우려가 있는 경우 및 비상 시 즉시 컨베이어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한다.

● 화물이 떨어져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 해당 컨베이어에 덮개 또는 울을 설치하는 등 낙하 방지 조치를 실시한다.

● 운전 중인 컨베이어의 위로 근로자가 넘어가는 경우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널다리를 설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실시한다.

● 가동할 컨베이어 주변에 타 근로자 및 방해물 유무를 확인하고 정리정돈을 실시한다.

● 수리, 정비 작업 시 스위치에 시건 장치 또는 「작업 중 조작금지」표지판을 부착하여 다른 작업자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한다.

● 가동 중 청소, 수리, 보수 등의 작업 금지한다.

● 풀리, 캐리어 및 롤러 등 가동 중인 회전체의 이물질 제거 금지한다.

● 가동 중인 회전체에 직접 금유 금지한다.

● 가동 중 역전방지장치의 점검ㆍ정비 금지한다.

   컨베이어 안전 장치

① 이탈 방지장치 및 역주행 방지장치 : 정전, 전압강하 등에 의한 화물 또는 운반구의 이탈을 방지

② 덮개, 울 : 컨베이어 동력전달부, 벨트, 풀리 등 근로자 신체 일부가 끼일 위험이 있는 부분

③ 화물 이탈 방지장치 : 컨베이어로부터 화물이 떨어질 우려가 있는 곳

④ 안전난간 또는 덮개, 울 : 컨베이어 피트, 바닥 등에 개구부가 있는 경우

⑤ 폭발구 : 폭발의 위험이 있는 가연성분진 등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⑥ 바퀴 고정 잠금장치(Stopper) : 이동용 컨베이어의 불시 움직임을 방지

⑦ 비상정지장치 : 비상 시 컨베이어의 운전을 즉시 정지

※ 비상정지장치는 각 제어반 및 그 밖의 비상정지를 필요로 하는 개소에 설치하되, 접근이 용이한 곳에 배치

⑧ 기동 예고 경보장치 : 컨베이어의 기동을 예고

⑨ 건널다리 : 운전 중 컨베이어의 위로 근로자가 넘어가도록 하는 경우 

※ 근로자가 컨베이어를 횡단하는 곳에는 바닥면 등으로부터 90~120cm 이하에 상부 난간대를 설치하고, 바닥면과의 중간 에 중간 난간대가 설치된 건널다리를 설치

⑩ 전기장치 외함접지는 접지단자를 이용하여 설치 § 400V미만일 때 100Ω이하, 400V이상일 때 10Ω이하, 방폭지역은 전압에 관계없이 10Ω이하)

반응형
Comments